
Linux Professional Institute Certification(LPIC)
리눅스 서버 시장의 급성장으로 리눅스를 배우는 사람의 수가 크게 늘어났고 이에 따라 리눅스 관련 자격증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LPIC는 칼데라시스템, 레드햇, 데비안 등 리눅스 선도 기업들이 주축이되어 설립한 리눅스 전문가 인증제도이며 리눅스 분야의 기술인력 확대와 정식 리눅스 교육을 통한 공인 엔지니어를 양성해 리눅스를 실제 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업계 표준으로 만들자는 것이 목적입니다. 리눅스 관련 자격증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 중 국내에서 시험을 주관하는 것은 리눅스마스터이며 LPIC, RHCE는 국제 공인 자격증입니다.LPI 공인전문가 제도
LPIC의 경우 국내에서는 2000년 8월 23일부터 시행되어 리눅스 국제 공인 자격증으로 위상을 확보하고 있는데 LPI에서 LPIC를 시행하는 이유는 리눅스 분야의 기술인력 확대와 정식 리눅스 교육을 한 공인 엔지니어를 양성해 리눅스를 실제 업무에 적용 할 수 있는 업계 표준으로 만들기 위해서입니다. LPIC를 취득하면 자격증과 ID 카드 외에 몇 가지 로고를 쓸 수 있는 권한을 주며 특이한 점은 LPI 온라인 사이트를 통해 서류를 제출하면 일거리를 알선 받는다는 사실입니다. 시험은 LPI 인증 전문 업체인 프로메트릭 공인 시험센터인 아이티뱅크에서 대행하며, Level 1에서 Level 3까지 단계적으로 진행됩니다. 국내에서도 취득하는 사람이 꽤 많이 나오고 있어 점차 인지도가 향상되고 있습니다. 이 시험을 치르기 전엔 반드시 www.lpi.org 사이트에서 회원 가입을 하여 LPI ID를 발급 받아야 추후 자격증을 수령할 수 있으니 이점을 꼭 알고 등록 이후 시험에 응시하여야 합니다.자격증 취득 목적
-
01
리눅스를 실제 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업계표준으로 만들어
실력을 더 키우기 위함 -
02
리눅스 분야의 기술인력 확대와
정식 리눅스 교육을 한 공인 엔지니어 양성
응시방법
LPIC 자격증은 현재 개발중인 차세대 리눅스 전문가 국제 공인 자격증이다. 국내에서는 지정 기관에서 수시로 시험을 볼 수 있고, 총 3단계의 레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현재 응시 가능한 레벨1의 시험은 두 과목이며 90분간 50~60문항씩 영어로 출제됩니다.
시험 후 바로 합격 여부를 알 수 있으며, 응시료는 과목당 100달러 정도, 외국계 뿐만 아니라 국내 IT 기업 취업에도 유리합니다.
인증 레벨 안내
구분 | 코드 | 과목 | 비교 |
---|---|---|---|
LPIC Level 1 | 101 Exam(Tia) 102 Exam(Tib) |
General Linux Part I General Linux Part II |
시행 |
LPIC Level 2 | 201 Exam(T3) 202 Exam(T4) |
Advanced administration Linux Optimization |
베타테스트 |
LPIC Level 3 | 300 Exam(T5x) | Specializations | 개발중 |
시험요강
분류 | 세부내용 |
---|---|
시행기관 | Linux Professional Institute |
시험과목 | LPIC level 1 |
검정방법 | 총 50~60문항 다지선다형, 단답형 주관식(5~6문제), 90분 |
합격확인 | 시험 종료 후 즉시 확인 가능 |
합격기준 | 자격증은 4~6주 후에 ID카드, 기타 안내서 등과 함께 등록자의 주소로 배달 101 Exam 500점(800점 만점), 102 Exam 500점(800점 만점) |
응시료 | 101 Exam, 102 Exam 각각 US$160 입니다. |
응시자격 | 제한 기준 없음 |
재시험 | 첫번째 떨어지고 일주일 후에 응시 가능, 두번째 떨어지면 90일 이후 응시 가능 합니다 |
인증내용
General linux part I· GNU와 KDE 유닉스 명령어, 디바이스, 리눅스 파일시스템, 파일시스템 계층 구조
· 부트, 설치, 셧다운과 실행레벨, 문서화, 관리 업무
General linux part II - 하드웨어 & 아키텍처 - 설치와 패키지 메니지먼트 [Covers Installation, tools and package management (RPMS)]
· Kernel, 텍스트 편집, 프로세싱, 프린팅 [Includes vi, emacs, lpd, etc]
· 셸, 스크립트, 프로그램, 컴파일
· X 윈도우 시스템 [XFree86, XF86Config, Enlightment, KDE, Gnome, etc]
· 네트워크 기초
· Protocols : TCP/IP, UUCP, PPP, HTTP etc, Commands such as pppd, inetd, ifconfig, dhcp
· 네트워킹 서비스 [Covers sendmail, apache, ftp, named, etc]
· 보안 Includes permissions, logins, passwd and shadow files, ipchains, ssh, pgp, firewalls, kerboros인증 etc
General linux part I Information
이 테스트는 인정 레벨1 필수 과목입니다. 모든 리눅스에 공통된 시스템 관리 업무의 기초를 기반하고 있습니다. 각 토픽의 범위와 과제에는 POMS 로 사용되고 있는 ID 넘버가 붙어 있습니다.
POMS에 나와 있는 내용에 관한 논의나 아키이브에의 링크 등도 있습니다. 각 목표 과제는 중요도 1-8 까지, 숫자가 높다면 중요도가 높은 범위는 보다 많은 문제가 출제가 예상됩니다.
Topic 1.3 : GNU and Unix Command
NO. | 세부내용 | 중요도 |
---|---|---|
Obj 1 | 유닉스 커맨드 라인에서 효율적인 작업을 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 4 |
Obj 2 | 텍스트 프로세싱 필터를 사용하여 텟트 스트림을 처리한다 | 7 |
Obj 3 | 기본적인 파일을 관리한다 | 2 |
Obj 4 | 유닉스의 스트림, 파이프, 재지정을 사용한다 | 3 |
Obj 5 | 프로세스 생성, 모니터, 정지 | 5 |
Obj 6 | 프로세스 실행 우선순위를 변경한다 | 2 |
Obj 7 | 정규 표현식을 사용하여 텍스트 파일을 검색한다 | 3 |
Topic 2.4 : Device, Linux File system, Architecture
NO. | 세부내용 | 중요도 |
---|---|---|
Obj 1 | 분할영역(파티션)과 파일시스템을 만든다 | 3 |
Obj 2 | 파일시스템의 통합성을 유지한다 | 5 |
Obj 3 | 파일시스템 마운팅과 언마운팅을 제어한다 | 3 |
Obj 4 | 디스크 할당량(quota)을 설정하고 확인한다 | 1 |
Obj 5 | 파일 허가권을 사용한다 | 3 |
Obj 6 | 파일 소유권을 관리한다 | 2 |
Obj 7 | 하드링크와 심볼릭 링크를 만들고 변경한다 | 2 |
Obj 8 | 시스템 파일을 찾아, 이 파일을 정확한 위치에 놓는다 | 2 |
Topic 2.6 : Boot, Install, Shut Down, execution level
NO. | 세부내용 | 중요도 |
---|---|---|
Obj 1 | 시스템을 부트한다 | 3 |
Obj 2 | 실행레벨(runlevel)을 변경하고, 시스템을 종료하고 다시 부트한다 | 3 |
Obj 3 | 시스템 문서를 사용하고 관리한다 | 5 |
Obj 4 | 인터넷에서 리눅스 문서 찾기 | 2 |
Obj 5 | 시스템 문서 만들기 | 1 |
Obj 6 | 사용자 지원 | 1 |
Topic 2.11 : Management
NO. | 세부내용 | 중요도 |
---|---|---|
Obj 1 | 계정(사용자, 그룹) 관리 및 연관되는 시스템 파일을 관리한다 | 7 |
Obj 2 | 사용자 환경 변수와 시스템 환경 변수를 조율한다 | 4 |
Obj 3 | 관리 또는 보안 요구를 충족하도록 시스템 로그 파일을 설정하고 사용한다 | 3 |
Obj 4 | 실행할 작업을 스케쥴링하여 시스템 관리 작업을 자동화한다 | 4 |
Obj 5 | 효과적인 데이터 백업 전약을 유지한다 | 3 |